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filternotnull()
- android
- 자바set
- Java
- 백준파이썬
- 자바
- disposableeffect
- composelifecycle
- Python
- 파이썬문법
- ContentProvider
- compose
- nullpointerexception방지
- 배열
- 백준
- 자바리스트정렬
- Provider
- Dependency
- Hilt
- 리스트
- 파이썬
- jetpack
- list
- 티스토리챌린지
- programmers
- Kotlin
- 프로그래머스
- 자료형
- 문자열
- 오블완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백준2485 (1)
study gomi

내 제출 - 종이에 칸 나눠서 나무 위치 표시해보고... 동일 간격을 어떻게 유추해낸 걸까 생각해보니까 어케 어케 풀렸다. - 처음에 틀린 이유는 굳이 더 심을 필요가 없는 경우(나무 2그루)를 생각 못 했었다. - math 라이브러리의 gcd 구하는 메소드를 사용해도 될 것 같다. 나는 연습 차원... - 사실 문제를 이렇게 푸는 건지 긴가민가 해서 코드를 굳이 굳이 길게 작성한 것 같다. # 최대 공약수 구하기 def get_gcd(a, b): while b: if a > b: a, b = b, a b %= a return a # 심어져 있는 가로수의 위치가 주어진다. # 이미 심어져 있는 가로수의 수 N n = int(input()) # 가장 첫 번재 나무 front_tree = int(input(..
Practice/Baekjoon
2024. 1. 10. 03: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