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udy gomi

Java Day6 변수와 자료형 본문

basic/java

Java Day6 변수와 자료형

공부하곰 2024. 2. 23. 00:09
728x90
반응형

변수

-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값의 의미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의미

- 변수를 사용하면 값을 담을 수 있는 기억 공간이 마련된다.

- 개발자는 해당 기억 공간에 값을 자유롭게 넣고 가져올 수 있다.

- 값을 담고 읽어오고 바꿀 수 있는 기억 공간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.

 

기억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조건

- 기억 공간이 자리 잡을 메모리상의 위치 (어디에 자리 잡을 것인지?) : 운영체제가 알아서 잡아준다.

- 자리 잡을 메모리상의 크기 결정 : 개발자가 결정해 줘야 함. 자료형을 통해 결정

 

자료형

- 값을 담을 기억 공간의 크기와 담겨질 값의 형태를 결정한다.

- 코드 상에서 작성하는 양식 : 자료형 변수이름

더보기

변수 이름

- 만들어질 기억 공간에 개발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이름.

- 원래 기억공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상의 주소 값(위치 값)을 알아야 함.

- 변수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많이 사용하는 부분이라 이름을 붙여주고 그 이름으로 접근할 수 있다.

- 종류 : 논리 자료형(boolean), 정수 자료형(byte, char, short, int, long), 실수 자료형(float, double), 문자열(String)

더보기

boolean

- 참과 거짓 값을 담을 수 있는 자료형.

- 1byte. true나 false 값을 담을 수 있다.

 

byte

- 1byte 크기의 정수 값을 담을 수 있다(-128 ~ 127)

 

char

- 2byte 크기의 문자 값을 담을 수 있다(0~65535)

- 자바에서 제공되는 자료형 중에 유일하게 음수 값이 없다.

- 자바 언어에서 문자를 담기 위해 사용

- 코드 상에서는 문자를 담는 것처럼 작성하지만 실제로는 해당 문자열의 코드 값이 담기게 된다.

 

short

- 2byte 크기의 정수 칸을 담을 수 있다 (-32768 ~ 32767)

 

int (정수형 기본 자료형)

- 4byte 크기의 정수 값을 담을 수 있다 (-2147483648 ~ 2147483647)

- 코드에 정수형 상수를 사용할 경우 상수 값을 담기 위한 기억 공간으로 기본 int형을 잡게 된다.

 

long

- 8byte  크기의 정수 값을 담을 수 있다 (-9223372036854775808L ~ 9223372036854775807L)

- 정수형 기본 자료형(int)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숫자 뒤에 L을 붙여주면 long형을 잡게 된다.

 

float

- 4byte 크기의 실수 값을 담을 수 있다.

 

double (실수형 기본 자료형)

- 8byte 크기의 실수 값을 담을 수 있다.

- 코드에 실수형 상수를 사용할 경우 상수 값을 담기 위한 기억 공간으로 기본  double 형을 잡게 된다.

- 하지만 사용하는 값의 범위가 크지 않은 경우 F를 붙여 float형을 잡게 됨 (뒤에 F를 붙여주면 작은 공간을 잡아주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.)

 

String

- " " 로 묶인 문자열을 담을 수 있는 자료형

- 사실 자료형이 아니라 클래스지 (사용이 일반 자료형과 비슷함)

 

728x90
반응형

'basic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 Day8 연산자  (0) 2024.02.23
Java Day7 표준 입출력  (0) 2024.02.23
Java Day5 상수  (1) 2024.02.21
Java Day4 기본 출력 / 식별자  (0) 2024.02.20
Java Day3 Java 프로그램 실행 구조  (0) 2024.02.15